2024 미국 대선을 앞두고 다시 떠오른 보호무역주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2024년 대선 출마를 공식화하며
다시 한번 ‘관세’ 이야기를 꺼내 들었습니다. 그는 재선 시,
중국산 제품에 대해 6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했으며,
모든 수입품에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 중입니다.
왜 트럼프는 이렇게 관세에 집착하는 걸까요?

1.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의 핵심 전략
트럼프의 정치 슬로건인 **“Make America Great Again”**
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경제 정책의 뼈대입니다.
그는 중국과의 무역 불균형, 미국 제조업의 쇠퇴,
일자리 해외 유출의 원인을 모두 “자유무역”에서 찾고 있으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해법으로 “관세”를 적극 활용해왔습니다.
◆ 관세 = 일자리 보호?
그는 관세를 통해 해외에서 유입되는 값싼 제품의 경쟁력을 낮추고,
미국 내 제조업의 활력을 회복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특히 중서부 제조업 도시의 노동자층은 이런 정책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트럼프의 충성 지지층이 되었죠.

2. 정치적 메시지: 강한 미국 vs 중국 견제
트럼프가 집권 시절부터 줄곧 강조한 건 중국에 대한 견제입니다.
그는 “중국은 미국의 일자리를 빼앗고 기술을 탈취해간다”고
주장하며, 강력한 무역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경제 논리를 넘어 정치·외교적인 압박 수단이기도 합니다.
관세를 통해 중국 경제에 타격을 주고, 동시에 미국 유권자들에게는
“내가 미국을 지킨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것이죠.

3. 재정 수입 확보 수단으로서의 관세
트럼프는 기본 10% 관세를 통해 미국 정부의
재정 수입을 늘릴 수 있다고도 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관세는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을 불러오고,
미국 경제에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특히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높이고 있는 현재,
관세로 인한 물가 상승 압박은 오히려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재선을 노렸던 전략 카드, 그 여파는 지금도
트럼프가 관세를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던
이유는 단지 경제 때문만은 아니었습니다.
그는 2024년 미국 대선에서 재선을 위한
강력한 메시지로 보호무역을 활용했고, 실제로 그의 지지층에게는
“중국과 맞서는 강한 지도자”라는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전략은 선거 결과와 무관하게 지속적인 정책 기조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국 내 보호무역 분위기와 중국 견제 흐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즉, 관세는 트럼프 개인의 정치적 도구를 넘어,
현재 미국 정치경제의 흐름을 상징하는 아이콘이 되어버린 셈이죠.
5. 관세 폭격이 계속된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만약 트럼프식 관세 정책이 계속된다면,
한국처럼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나라에게는 큰 부담이 됩니다.
특히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자동차, 반도체, 철강, 배터리 산업은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죠.
그렇다면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1) 수출시장 다변화
미국에 집중된 수출 구조를 동남아, 중동, 유럽 등으로 분산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미국 중심에서 ‘멀티 허브 전략’으로 전환하는 거죠.
2) 내수 기반 강화
외풍에 흔들리지 않기 위해 국내 소비시장 확대와
기업의 내수 경쟁력 강화도 중요합니다.
3) 국제 협력 강화 및 FTA 활용
EU, 동남아, 중남미 등과의 무역협정 활용도를 높이고,
미국 외의 국가들과 경제 협력을 확대해야 합니다.
4) 기술고도화 및 제품 차별화
단순 제조 경쟁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제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야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5) 글로벌 공급망 재설계
공급망 리스크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서플라이 체인 다변화도 필수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집착은 그의 경제 철학, 정치 전략, 국제 무역관,
유권자 공략이 복합적으로 얽힌 결과입니다.
하지만 이런 정책이 실제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지는 여전히 논쟁 중이며, 향후 대선에서 얼마나 이슈가 될지
관심 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요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증시! 코스피 2,700선 회복의 의미는? (50) | 2025.05.09 |
---|---|
"코스피·코스닥 상장폐지 기준 강화… 이제는 버티기 힘들다?" (35) | 2025.04.13 |
소비 둔화 vs. 경기 회복, 경제 지표 속 엇갈린 신호, 해석하기 (67) | 2025.03.26 |
2025 국민연금 개편, 내 노후는 안전할까? 당신이 알아야 할 변화" (25) | 2025.03.15 |
2025년 예금자 보호법 변경: 달라지는 점과 영향 분석, 한도 변경! 내 돈은 안전할까? (25) | 2025.03.07 |